이번 소개에서는 변수의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변수를 설명 드리기전에
먼저 shell부터 소개해드릴께요.
shell은 커널위에서 사용자의 명령어를 읽고 분석해서 커널이 명령어를 수행할수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shell 위에 또다른 shell(자식프로세스)을 생성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그림은 bash shell이 두개가 존재하네요. 1번 bash shell이 만들어낸 또다른 2번bash shell(자식 프로세스)입니다.
1.변수(Variable)
이제 변수의 대해서 소개해드릴텐데요. 변수는 두가지 종류, 지역(local)변수와 환경(public)변수가 존재합니다.
지역(local)변수
지역 변수를 생성한 shell에서만 호출가능
생성법
변수명=변수값
호출법
$변수명
직접 실험을 해봤습니다. 처음엔 bash하나만 존재하는 현재 shell에서 지역변수와 환경변수 두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echo를 이용해 두개의 변수를 출력해보았습니다.
(echo: 해당 값을 터미널에출력)
두개의 변수 모두 알맞게 뜨네요.
이후 또다른 bash shell을 만들어 bash shell이 2개 존재하는 자식 프로세스(2번째 bash)에서 두개의 변수를 호출해보니. 지역변수는 값이 뜨질않는게 보이네요.
이것이 두개의 변수 차이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publicVariable 환경변수를 지역변수로 변화해 실험해본 결과물입니다.
지역변수로 변환시킨후 자식 프로세스 shell에서 호출을 해보았지만 아무것도 뜨지않는걸 볼수있네요.
PATH라는 환경변수값에 /home/MoVenPick 이라는 경로를 추가해보았습니다.
지역변수를 등록후 해제하는 모습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0) | 2012.09.11 |
---|---|
#06. Standard I/O Redirection (0) | 2012.09.10 |
#04. Vim Editor (0) | 2012.09.09 |
#03. Linux의 기초명령어 (0) | 2012.09.08 |
#02. CentOS에 VMwareTool 설치 (0) | 201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