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Linux

#01. VMware 가상머신에 CentOS5.8 설치

이번 소개에서는 저번 소개에서 만들어논 가상머신에 CentOS5.8 설치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CentOS는 무료 OS이기때문에 없으신분들은 마음껏 다운로드를 하실수있습니다.


http://ftp.daum.net/centos/5.8/isos/x86_64/



위에 링크로 들어가시면 이런 목록이 보이실겁니다. 여기서 보라색으로 표시된 두개는 직접 서버를 통해 바로 받으실수있는 iso이미지 파일들입니다. 두개다 받으셔야해요!


직접 받는게 느리시다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3번째 토렌트 파일을 받으셔서 직접 토렌트에서 받으실수있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없으신분들은 다운로드 하시길바래요^^



자, 이제부터 설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번에 만들어논 가상머신을 열어주세요!




먼저 장치 목록에서 CD/DVD를 더블클릭!




CD/DVD 선택하시고 Connection(연결)에서 2번째옵션 (ISO이미지 파일 사용)을 선택 해주시고 CentOS5.8이 있는 경로를 찾아 선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두번째 빨간색 표시를 보시면 iso이미지 파일이 선택된걸 볼수 있을겁니다. 자 그럼 확인하셨으면 첫번째 빨간표시(초록 재생버튼)를 눌러줍시다!




이런식으로 창이뜨네요 ㄷㄷ  여기서 엔터처줍시다 ㄷㄷ 


**가상머신 화면에서 마우스커서가 안나와서 당황하시는분들이 계실텐데요 alt + ctrl 누르고 커서 밖으로 빼내시면 됩니다^^




이런 화면이 뜨네요 왠 도스같은게 떠가지고 ㄷㄷㄷㄷ  여기서 묻는건 cd를 깔기전에 cd를 검사 해보겠냐 라고 묻는건데요, 우리는 안전한 곳에서 iso이미지를 가져왔기때문에 구지 검사를 할필요가 없습니다...더군다나 검사하면 시간 무척 오래걸려요 ㅠㅠ

그러므로 왼쪽방향 버튼으로 skip선택 하시고 엔터!




자! 드디어 화면다운 화면이 나왔어요!!! 와와~ 근데 별게 없네요 걍 Next 꾸욱...



뭐라 주저리주저리 하면서 언어들이 나오네요. 여기서 묻는건 프로그램 까는동안 어떤 언어를 사용 하겠느냐 묻는건데요, 당연히 우린 한국어를 좋아하지요 하하하 한국어를 찾아 선택 하시고 Next 눌러줍시다!



이번엔 키보드에 사용될 언어를 선택하는건데요, 이건 무조건 U.S영어 입니다!! 그리고 Next~




헉 경고창이 떴어요!! 근데 걱정하지마세요 원래뜨는거에요 ㅋㅋ 저희가 가상머신 만들때 새로운 가상 디스크를 만들었기때문엥 실제처럼 포멧두 해야하고 파티션도 정해줘야대요.

Linux에선 파티션이을 수동으로 정해줘야되거든요~ 그러므로 "예"를 눌러줍시다!



이번엔 이런창이뜨네요. 파티션을 정해주기위해서인데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파티션은 저희가 직접! 정해주는것이 좋기때문에 옵션에서 맨밑(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를 선택해주시고 Next~




이런 창이떴습니다! 이제 우리가 파티션을 정해줘야대요~~~ㄷㄷㄷㄷ

일단 파티션을정하기전에 어떤어떤 파티션을 정해야할지 설명부터 드리겠습니다.



/            :최상위 디렉토리(/etc, /var, /usr, /usr/local, /lib등이 생성된다)

/boot      :boot 디렉토리(리눅스 커널과 관계가있다)

swap      :가상 메모리로 전환 할때 필요

/home     :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등, 사용자의 관한것을 담고있다


꼭 파티션을 정해줄 필요없는것들(필요목적에 의해서만 따로 파티션 지정)

/usr     /var(서버를 가동할시 로그와 메일 저장등을 포함)    /tmp



이제 용량을 얼만큼씩 줘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 나머지 파티션에 용량을 할당한후 남는 모든 용량

/boot = 100MB면 충분 더큰 용량할당은 그냥 용량을 낭비하는짓

swap = 메모리용량의 두배가 적당

/home = 사용자수가 많이 필요하면 필요할수록 많은 용량이 요구된다(1~2GB면 충분)

/usr = 대략 5GB

/var = 2GB에서 많게는 10GB도 준다

/tmp = 대략 1GB


보통 용량 할당 기준이 이렇습니다. 하지만 저흰 고급스럽게 할필요가없겠죠? 우린 초보들이니깐 ㅠ 많이 줘봤자 쓰지도못하고 그냥 낭비니까 ㅠㅠ


저희가 가상 디스크에 준 용량은 15GB!

/boot: 100MB,   swap: 1GB,    /home: 512MB,   /tmp: 1GB,    / = 나머지 용량 전부!

이렇게 용량을 할당 해볼께요.


**여기서 중요한점은 /는 어쩔수없이 나머지 용량을 전부줘야하기때문에 마지막에  생성 할거지만 파티션에선 제일 위에 위치해있어야합니다. 제일 위에 위치하게 하는법은 생성 하면서 알려드리도록 할께요!



자 그럼 새로 생성 버튼을 눌러봅시다!



이런식으로 파티션 추가 창이뜨는데요 일단 /boot부터 생성해보겠습니다. 위에처럼 그대로 선택 해주시면 되요. 이런식으로 /를뺀 나머지를 모두 생성 해보겠습니다.


swap


/home


/tmp



이렇게 /를 제외한 모든 파티션을 생성해봤어요. 이제 /를 만들어볼께요. 똑같이 파티션 생성 버튼 꾸욱!



이렇게 설정해줍시다. 나머지 용량 모두라고 했으니 최대가능한용량 선택 해주시고, /는 맨위에 위치해야한다고했죠. 그렇기때문에 첫번째 파티션으로 함 옵션도 체크해주시고 확인!




그럼 최종적으로 이런 모습으로 변해있을겁니다! 자 다시한번 확인해보시고 Next~



이번 창에서는 부팅할때 필요한 파일(GRUB)을 어디에설치할지 물어보는 창인데요, 그냥 선택 되어진 옵션으로 하시면됩니다! Next~



네트워크 장치에대한 창인데요,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Next~



시간 설정하는 창입니다. 그냥 서울 선택 해주시고 Next~



이번창은 매우 중요한 창입니다. root라는 것은 CentOS에서 슈퍼 관리자 계정을 말하는건데요, 처음 설치하고 root로 들어가서 계정을 생성하시던지 아님 root를 계속 사용하시던지 

어쨌든 무조건 root로 로그인을 하셔야해요. 암호는 막 정하시면 안되고 기억 하실수 있는 암호로 정해주시길 바래요~ Next~



여기서는 CentOS의 추가적인 기능을 더하는 창입니다. Server가 아마 체크가 안되있으실겁니다 server체크 해주시고 밑에 옵션에서 지금 사용자 설정까지 선택 해주시고 Next~



여기 창도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서 이제 추가적인 기능들을 추가할건 하고 뺄건 뺄텐데요, 너무 많아서 사진으로는 다 보여드릴수가 없는거 이해해주세요 ㅠㅠ


글로 자세히 설명 드릴테니 그대로 해주시면되요!


가상화 : 아무것도 선택할 필요없음

개발    : GNOME 소프트웨어 개발, X 소프트웨어 개발, 개발용 도구

기반 시스템 : X Window 시스템, 관리 도구, 기본, 시스템 도구

데스크탑 환경 : GNOME 데스크탑 환경

서버 : DNS 네임 서버, FTP 서버, MySQL 데이터베이스, Windows 파일 서버, 네트워크 서                                                         버, 레거시 네트워크 서버, 메일 서버, 서버 설정 도구, 웹 서버

언어지원 : 한국어 자동 선택이 되어있음

응용 프로그램 :  그래픽, 그래픽 인터넷, 사무/생산성, 텍스트-기반 인터넷, 편집기

클러스터 스토리지 : 아무것도 선택할 필요없음

클러스터링 : 아무것도 선택할 필요없음


위항목에 써있는것들 말곤 모두 선택 하실 필요없습니다! 천천히 하나하나 틀리지 않게 설정해주세요!  모두 설정 하셨다면 Next~




이제 거의다 끝났네요! 드디어! 후후... Next~




이런창이뜨신다면, 이건 iso이미지파일 1이랑2 둘다 필요하다는 뜻이니 두개다 준비 해두시고 계속 진행~(재부팅 누르시면 큰일 납니다요~)


여기서 이제 설치 되기를 기다리시면 됩니다..후후...




거의 마무리 될즘에 이런 창이 뜰겁니다. 그럼  iso이미지파일을 교체 해줘야해요.




옆에 라이브러리 목록들을 보면 저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CentOS설치연습이 보이실겁니다 오른쪽 클릭해서 셋팅으로 들어가줍시다!



CD/DVD 클릭해주시고 iso이미지파일을 CD2로 교체 해줍시다. 그리고 중요한점은 빨간색으로 표시된 옵션! 꼭 체크해주세요!! 스크린샷을 먼저 찍는바람에 체크가 안되있게 나왔네요 ㅠㅠ 교체 하셨으면 아까 떴던 교체하라는 메세지도 확인을 눌러줍시다!



설치가 완료 되었네요! 그럼 재부팅을 합시다!!




하지만...아직 몇가지 설정이 남아있다는거 ㅠㅠㅠ 흑흑흑...일단 앞으로 버튼 꾸욱...




방화벽 설정이네요. 여기서 FTP, SSH, Telnet, WWW(HTTP) 부터 일단 체크 해줍시다

나중에 연습할때 꼭 필요한 녀석들이니까요! 그리고 앞으로~



예~



방화벽보다 한수위인 SELinux입니다. 우리는 가진것도없고...해킹을 당할리도 없고 그러므로 비활성화 해줍니다! 껄껄...



예~



Kdump따위 필요없다! 그냥 앞으로~



시간 정해주는거..귀찮네요 ㅠㅠ 하실분은 정하시고..앞으로~


지금 당장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저희에겐 root라는 슈퍼 관리자 계정이 있거든요!! 그냥 아무것도 안쓰시고 앞으로 누르시면 됩니다!



사운드 따위필요없으니...이것도 그냥 패스~



우린 이미 추가할것들을 모두 추가 하였기때문에 여기선 아무것도 할필요없습니다 ㅋㅋ


완려 버튼 꾸욱! 그러면 창이 하나뜨면서 재부팅 하라고하네요. 재부팅해줍시다!



드디어..로그인을 할수있습니다! 아까 만들었던 root로 로그인을 합시다!




이야 드디어 다 깔렸네요!! 호호호 근데 모두들 느끼셨겠지만 마우스 커서 뺄때마다 alt + ctrl 누르면서 빼는거 정말 불편하시죠 ㅠㅠ 걱정마세요, VMwereTool이라고 아주 유용한 툴이있어요!


다음 소개에서는 VMTool 설치에 대해서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shell, 변수  (0) 2012.09.10
#04. Vim Editor  (0) 2012.09.09
#03. Linux의 기초명령어  (0) 2012.09.08
#02. CentOS에 VMwareTool 설치  (0) 2012.09.07
#00. VMware에 CentOS5.8을 위한 가상머신 만들기  (0) 2012.09.07